Titl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Relations between the Emotional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하여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하여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전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이중으로 부분매개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으로 관계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정서를 명확히 하는 사람은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고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채택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Read More
Publication Year: 2019
Publication Date: 2019-04-30
Language: ko
Type: article
Indexed In: ['crossref']
Access and Citation
AI Researcher Chatbot
Get quick answers to your questions about the article from our AI researcher chatbot